맨위로가기

곡산 노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곡산 노씨는 당나라에서 건너온 노수의 아홉째 아들 노원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고려 충숙왕 때 판도판서를 지낸 노조를 1세조로 하며, 본관은 황해도 곡산이다.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1명을 배출하였으며, 주요 인물로는 노경린이 있다. 경기도 김포, 황해도 곡산, 옹진, 평산 등에 집성촌을 이루었고, 2000년에는 443가구, 1,367명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곡산 노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가명곡산 노씨
한자 표기谷山盧氏
로마자 표기Goksan No ssi
유형씨족
국가한국
지역곡산군
시조노원
기원
원시조노수(盧穗)
지역
집성촌황해도 곡산군
황해도 옹진군 서면 외전산리
경기도 김포시 고촌면 신곡리
황해도 평산군 적암면
인구 통계 (2000년)
인구1,367명

2. 역사

시조 노원(盧垣)은 당나라에서 한림학사(翰林學士)를 역임하고 신라로 건너온 도시조(都始祖) 노수(盧穗)의 아홉째 아들로서 '''곡산백'''(谷山伯)에 봉해졌다고 한다.

원(垣) 이후에 계대를 알지 못하므로 고려 충숙왕 때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역임한 '''노조'''(盧兆|노조중국어, 1300년 ~ 1367년)를 1세조(一世祖)로 한다.

3. 본관

곡산은 황해도 북동단에 위치하는 지명으로, 본래 고구려의 십곡성(十谷城)인데 통일신라 경덕왕이 진서(鎭瑞)로 고쳤고 고려 초에 곡주(谷州)로 개칭하였다. 1393년(조선 태조 2)에는 곡산으로 개칭하고 부(府)로 승격하였다. 1895년(고종 32년) 갑오개혁으로 23부제가 시행되면서 해주부 관할 곡산군이 되었다가, 1896년 13도제 실시로 황해도에 속하게 되었다. 곡산의 별칭은 덕둔홀, 고곡, 진서, 상산 등이다.

《세종실록지리지》에는 곡산군의 토성(土姓)으로 우(禹)·(盧)· (康)·(韓)·용(龍)·(延) 6성이 기록되어 있다.[6]

4. 인물


  • 노경린(1516년~1568년 5월 16일(음력 4월 20일)): 1539년(중종 34)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성균관학유·박사를 거쳐 공조·예조·호조·형조의 낭관(郎官)을 역임하였다. 그 뒤 사헌부지평에 올랐으나 진복창의 탄핵을 받아 좌천되어 나주목사·성주목사 등을 지냈다.[1]

5. 과거 급제자

곡산 노씨는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1명, 무과 급제자 9명, 사마시 급제자 2명, 역과 급제자 1명, 율과 급제자 2명, 의과 급제자 2명을 배출하였다.[7] 고려 시대에는 문과 급제자 1명을 배출하였다.[7]

5. 1. 고려

고려 시대 문과에 급제한 인물로는 노조(盧朝)가 있다.[7]

5. 2. 조선

곡산 노씨는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1명을 배출하였다.[7]

조선시대 과거 급제자
종류이름
문과노경린
무과노극겸, 노극제, 노극준, 노문표, 노세웅, 노의봉, 노제신, 노중빈, 노태기
진사시노관하, 노의석
역과노태일
율과노상욱, 노학진
의과노덕수, 노상철


6. 집성촌

7. 인구

연도가구인구
1985년1,704가구7,453명
2000년443가구1,367명


참조

[1]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곡산노씨 谷山盧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2]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17
[3] 웹사이트 "(135)교하 노씨(交河盧氏)-53,203명" http://www.seoulecon[...] 2015-02-19
[4] 웹사이트 소개 http://www.rohs.or.k[...] 노씨중앙종친회 2022-09-04
[5] 웹사이트 노씨(盧氏) 본관(本貫) 곡산(谷山)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6
[6] 웹인용 세종실록 152권, 지리지 황해도 황주목 곡산군 http://sillok.histor[...] 2024-06-14
[7] 한국학중앙연구원 LST_045_057_01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